
-
종부세계산기와 종부세기준을 알아보자!부동산라이프 2021. 5. 30. 20:56728x90반응형SMALL
종부세계산기와 종부세기준을 알아보자!
부동산 가격 즉 공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종부세 부담액 또한 함께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보유 재산에 따라 납부하는 재산세와는 별개로 부동산에 추가 부과되는 종부세는 과연 어떤 세금일까요?
우리에게는 종부세라는 명칭으로 주로 알려져서 종합부동산세의 줄임말인지 정확히 모르고 계시는 분도 더러 있는데요.종부세란 개인이 고액의 부동산 매물을 다량으로 보유하고 있을 경우 세금을 부담시킴으로써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으며 2005년도부터 시행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예전과 비교했을 때 집값이 오르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고 얘기할 정도로 전국의 공시 평균 가격이 상승한 상황 속 종부세 세수가 작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그뿐만 아니라 올해부터는 종부세 세율이 기존보다 0.6%에서 최대 3%까지 늘어났기 때문에 세금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며 특히나 다주택자는 세밀하게 세금액 변동을 따져보셔야 합니다.
그러나 부동산을 소유했다고 해서 무조건 종부세가 발생되는 것은 아니며 정해놓은 유형과 구간에 따라 발생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종부세 기준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주택, 종합합산토지, 별산합산토지가 있습니다.
우선 주택은 공시 가격의 합계가 6억원을 초과하고 1세대 1주택자는 9억원을 초과해야 합니다.종합합산토지는 나대지와 잡종지를 일컬으며 여기서 나대지란 빈터로 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데 해당 토지는 공시 가격 합계가 5억원을 초과해야 합니다.
별도합산토지는 건축물의 부속 토지를 일컬으며 해당 토지는 80억원을 초과 시 종부세가 발생됩니다.
웬만한 민원 업무는 관공서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인증서를 통해 온라인으로 해결 가능한 세상인 만큼 연말정산하시면서 한번쯤은 접속해 보셨을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세부 경로를 알려드리자면 홈텍스 접속 후 조회/발급 버튼을 클릭하고 세금신고납부 내 납부내역을 조회하여 종부세 기준 초과 금액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해서 정해진 세율에 따라 총 납부해야 할 금액이 책정되는데요.이 말인즉슨 6월이 되기 전에 보유 중인 부동산 자산의 변동이 있다면 종부세도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매도인 입장에서는 6월 1일 전에 파는 것이 유리하고 매수인 입장에서는 6월 1일 이후에 매물을 매입하는 것이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이렇게 책정된 종부세는 납부 기간이 정해져 있는데요.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완납을 해야 합니다만 납부 세액이 250만원을 넘는 경우 최대 5개월간 분할하여 납부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500만원이 넘는 경우 납부 기한 내 세액 중 100분의 50 이하는 납부가 완료되어야만 합니다.
만일 분할 납부를 원하신다면 국세청 홈페이지 내 종합부동산세 분납신청서를 작성 후 제출이 필요합니다.추가로 기한 내 미납부 시에는 3% 가산세가 발생되고 매일 0.025% 가산세가 더해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올해부터는 종부세 세율 변동과 더불어 부부 공동명의자에 대해 1주택자 신고 시 납세 의무자를 누구로 할 것 인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정안이 담긴 시행령을 이행하기로 했습니다.조세 형평성이 어긋난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고령자 또는 장기보유 혜택을 받기 원하는 경우 9억원을 초과하는 분에 대해 종부세를 내는 형태로 개정되게 됩니다.
재테크 열풍이 불고 있는 요즘 부동산으로 하는 재테크의 관심도 많은데요. 재테크 수단으로 부동산을 선택했다면 종부세 기준을 꼼꼼히 숙지하고 있어야 세금 부담을줄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728x90반응형LIST'부동산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청약사이트와 아파트분양정보사이트를 알아보자! (0) 2021.05.31 아파트청약일정과 서울아파트청약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1.05.31 종부세납부기한과 종부세란? (0) 2021.05.30 종부세과세대상과 종부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1.05.30 창원부동산이야기와 창원아파트를 알아보자! (0) 2021.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