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가구2주택양도소득세와 1가구2주택양도세율을 알아보자!부동산라이프 2021. 5. 22. 20:16728x90반응형SMALL
1가구2주택양도소득세와 1가구2주택양도세율을 알아보자!
우리나라에서는 재산과 관련된 거래를 하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양도 소득세'라는 것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데요. 이런 양도에 의한 소득세는 어떤 것을 양도하는지, 얼만큼의 재산을 갖고 있다 양도를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세율이 적용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개개인의 재산을 양도함에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면세가 되기도 하고, 비과세가 되기도 하는데요. 그만큼 양도소득세는 신고 전, 양도 전 미리 따져보고 자신의 상황을 파악한 후에 진행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오늘은 이와 관련된 핵심을 정리해보면서, 절세 전략을 세우고 싶을 때 참고하시면 좋은 곳까지 함께 정리해드리려 하니 끝까지 참고해 활용해보시면 되겠습니다.★양도세를 납부해야 하는 경우는?
위와 같이 양도세는 타인에게 재산을 양도하면서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신고와 납부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타인에게 부동산, 주식 등을 양도할 때 수익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한 경우라면 양도세는 닙부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양도세 세율은 어떻게 될까?
우선 1가구에 2주택을 둔 경우 비과세, 면제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정리하기 전에 양도소득세의 세율을 정리해드릴텐데요. 만약 면세 또는 비과세 조건을 하나도 갖추지 못할 경우 하단의 사진과 같이 세율이 부과된다는 것입니다.표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드리자면, 부동산을 2년 이상 보유하지 않고 그 이전에 양도를 하는 경우 과세표준과 상관없이 수익에 대한 40~70%의 세율이 적용되는데요. 2년 이상 보유를 한 경우라면 면세와 비과세조건을 따져 과세표준을 구하고, 그에 따라 세율을 적용하며 누진세액공제가 함께 적용됩니다.
★1가구2주택양도소득세 면제/비과세
1) 잠깐(일시적) 1가구 2주택이 된 경우
이 경우 일반적으로 한 가구당 한 주택에 거주하다 이사를 가게되었을 때를 위해 적용된 비과세 제도로써, 이사를 하게된 경우 본래 집에 1년 이상 거주를 해야 하고, 이사를 간 후에는 이전에 살던집을 3년 이내에 양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비과세 특례는 9억 원 이상에 해당하는 고가주택을 처분한 것이라면 9억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비과세 특례가 적용되지 않고, 양도세가 부과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TIP>
비과세 특례의 예외경우
거주하던 지역 또는 취득한 주택의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 해당한다면
3년이 아닌 1년 이내에 원래 살던 집을
양도하셔야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2) 상속 및 증여로 인해 2주택자가 된 경우
■ 상속으로 2주택자가 된 경우상속으로 인해 2주택자가 된 경우라면 기존의 주택을 2년 이상 보유했었다는 전에 하에 9억 원 이하로 빠르게 양도하시면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증여로 2주택자가 된 경우
증여로 인해 2주탁재가 된 경우라면 1년 이상 보유를 한 주택을 3년 이내에 양도를 하셔야 비과세 적용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증여와 관련된 부분은 증여세와 맞물려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글의 하단부를 참고하셔서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노부모의 부양을 목적으로 합가하게 된 경우60세 이상에 해당하는 노부모님을 모시게 되며 2주택자가 된 경우라면 10년 이내에 한 주택만 처분을 해도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728x90반응형LIST'부동산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세 절감하는 필요경비란? 필요경비 알아보자! (0) 2021.05.23 전세보증금담보대출과 전세보증금대출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1.05.23 조정지역양도세와 양도세감면기준 알아보자! (0) 2021.05.22 등기부등본열람과 등기부등본인터넷발급을 알아보자! (0) 2021.05.21 신탁등기란? 부동산신탁등기란? 주의사항 알아보자! (0) 2021.05.21